더 많은 콘텐츠가 궁금하신가요?
전체 노트

조병수 : “100년 뒤 서울엔 산과 강, 바람이 있을까” 건축가가 묻다


롱블랙 프렌즈 K 

지난달 27일, 제4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가 막을 내렸어요. 역대 최다 인원인 92만여 명이 행사장을 찾았죠. 비엔날레의 부제는 ‘산길 물길 바람길의 도시 서울의 100년 후를 그리다.’
*전 세계 건축가들이 모여 지구와 서울의 문제와 미래를 고민하는 장으로 2년마다 개최된다. 올해는 62개 도시의 132개 팀이 참여했다. 

비엔날레 총감독은 조병수 건축가. 땅속에 짓는 ‘땅집’과 ‘꺾인 지붕 집’, ‘지평집’이 유명합니다. 자연과의 교감을 중시하는 그의 철학이 녹아있어요. 

파주 헤이리의 카메라타 뮤직 스튜디오, 거대한 바위 동산을 살려 지은 남해 사우스케이프 호텔&빌라, 도심 속 고목처럼 생긴 경복궁 앞 트윈트리타워도 그의 작품이에요. 

조병수 건축가는 자연에 스며드는 건축을 강조합니다. 도시가 어떻게 잃어버린 땅의 흐름을 되찾을 수 있다는 걸까요? 서울 서촌에 자리 잡은 그의 사무실을 찾아갔습니다. 심영규 글로우서울 CCO가 함께했어요.



심영규 (주)글로우서울 CCO 

저는 조병수 소장의 건축을 이렇게 표현하고 싶습니다. 투박하지만 세련되고, 즉흥적이지만 자연스럽다. 그는 자신의 건축을 ‘사과 상자’와 조선시대 ‘막사발’에 비유해요.

조 소장의 사무실 역시 그렇습니다. 단출하지만 정갈해요. 그래서 편안합니다. 하얀 천장과 벽. 공간을 구분하는 건 얇은 철제 기둥 두 개뿐. 화려한 가구는 없습니다. 상판과 옆면만 있는 나무 책상, 합판 두 개를 엇갈려 얹은 나지막한 탁자가 전부예요. 대신 커다랗게 뚫린 창문들마다 서촌 풍경이 한가득 담깁니다. 

롱블랙을 구독하면
분야를 넘나드는 1300개 이상의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롱블랙 구독자분들은
이렇게 말해요

다른 콘텐츠를 보러갈까요?